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건설업 노임단가 총정리 직종별 임금 분석과 2026년 전망까지

by 블루쩡 2025. 7. 4.

2025년 건설업 노임단가 총정리 – 직종별 임금 분석과 2026년 전망까지

건설 입찰·견적을 준비할 때 꼭 확인해야 할 2025년 최신 노임단가가 발표되었습니다.
전국 2,000개 현장 조사 결과, 132개 직종 평균이 276,011원으로 지난해보다 0.63% 상승했습니다.
경기 둔화 속에서도 현장 인건비는 꾸준히 오르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노임단가 개요부터 직종별 금액, 상승·하락 분석, 2026년 전망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2025년 건설업 노임단가 조사 개요

먼저, 이번 2025년 노임단가 조사의 배경과 방법부터 살펴볼까요?

  • 법적 근거: 통계법 제17조 지정통계(승인번호 365004호)
  • 조사 기간: 2024년 9월 1일~9월 30일(임금 기준), 10월 현장·우편·온라인 병행조사
  • 표본 규모: 전국 2,000개 건설 현장
  • 직종 수: 총 132개(신설 5종 포함)

이번 조사는 다양한 직종과 지역, 공사 종류를 포괄해 시중에서 실제 지급되는 임금수준을 반영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025년 전체 평균 노임단가

  • 전체 평균 임금: 276,011원 (1일 8시간 기준)
  • 일반공사 직종 평균: 264,277원
  • 전기·정보통신·국가유산·원자력·기타 특수 직종: 312,000~478,000원 범위

→ 직종별로 최대 두 배 가까운 차이가 나며, 고난도·고위험 특수 직종이 고단가를 주도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일용직 4대보험 가입기준 가입방법

 

 

2025년 상반기 직종별 상세 노임단가

아래는 주요 직종별 2025년 상반기 기준 일급(8시간) 단가입니다.

일반공사 직종

  • 작업반장(1001): 211,930원
  • 보통인부(1002): 170,990원
  • 특별인부(1003): 214,222원
  • 잠수부(1020): 379,657원

전기·통신 직종

  • 내선전공(1075): 268,915원
  • 특고압 케이블 전공(1076): 436,458원
  • 배전활선 전공(1082): 557,881원
  • 광케이블 설치사(2001): 460,429원

문화재(국가유산) 직종

  • 한식목공(3003): 351,481원
  • 한식와공 편수(3015): 457,143원

원자력·기타 특수 직종

  • 원자력 품질관리사(4004): 270,376원
  • 변전전공(5006): 477,832원
  • 신설 철거공(5014): 264,828원
  • 신설 흙막이공(5015): 278,476원

 

👉산재보험 신청방법 보상금 지급기준

 

 

2024년 대비 변화 분석

이번 조사에서는 물가 상승률 둔화에도 직종별로 상승폭이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상승 폭 TOP 5 직종

  • 한식목공: +26,138원(8.0%)
  • 특고압 케이블 전공: +21,469원(5.2%)
  • 배전활선 전공: +20,610원(3.8%)
  • 광케이블 설치사: +16,287원(3.7%)
  • 변전전공: +19,132원(4.2%)

하락·정체 직종

  • 플랜트 계장공(1063), 지적기사(1072) 등 일부 설계·계측 계열 직종은 1% 내외 하락세
  • 조사 표본 수가 적은 ‘*’ 표시 직종은 변동 폭이 커서 적용 시 주의 필요

→ 고난도, 고위험 직종이 여전히 임금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반면, 일부 설계·계획 계열은 상대적으로 정체되거나 소폭 하락했습니다.

 

 

2026년 노임단가 예측

향후 임금 수준을 예측할 때는 물가, 경기, 정부 SOC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야 합니다.

예측 근거

  • 한국은행 CPI 전망: 2026년 소비자물가 1.9% 예상
  • 건설경기 전망: 2025년 수주 전년 대비 +2.2% 회복세
  • 최근 임금 상승률 추세:
    • 2024.1 → 2024.9: +1.29%
    • 2024.9 → 2025.1: +0.63%
    • 평균 반기 상승률 ≈ 0.96%

전망 결과

  • 전체 평균: 2025.1 276,011원 → 2025.9 예상 278,650원(+0.96%) → 2026.1 예상 281,350원(+0.97%)
  • 주요 직종 예상치(±2000원 오차 범위):
    • 보통인부: 173,600원
    • 내선전공: 273,500원
    • 특고압 케이블 전공: 445,000원
    • 광케이블 설치사: 468,000원
    • 한식목공: 360,000원
    • 변전전공: 485,000원

→ 전반적으로 1% 내외의 ‘저속 상승’이 예상됩니다. 다만 SOC 예산, 지역별 편차, 인력 미스매치가 변수입니다.

 

 

👉갑근세 계산기 일용직 소득세계산 환급방법

 

 

실전 Q&A

Q1. 노임단가가 왜 중요한가요?
A. 공사 입찰, 견적서 작성, 하도급 계약에서 필수 기준입니다. 잘못 산출하면 이익이 줄거나 분쟁이 생깁니다.

Q2. 노임단가는 매년 언제 공표되나요?
A. 통상 상반기(1월)와 하반기(9월)에 공표됩니다. 입찰·계약서에는 반드시 최신 공표치를 적용하세요.

Q3. ‘*’ 표시된 직종은 뭔가요?
A. 조사 표본 수가 적거나 편차가 커서 단가 변동성이 큰 직종입니다.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Q4. 건설사 입장에서는 어떻게 활용하나요?
A. 원가계산서 작성, 입찰가 산정, 하도급 단가 협상에서 기준 자료로 사용합니다. 반기별 공표치를 갱신해 리스크를 줄이는 게 중요합니다.

Q5. 2026년에도 계속 오를까요?
A. 물가와 수주 회복을 전제로 1% 내외 점진적 상승이 예상됩니다. 다만 SOC 예산 변동이 큰 변수입니다.

 

 

결론

2025년 건설업 시중노임단가는 평균 276,000원을 돌파하며 직종별 격차가 더 커졌습니다. 전기·통신, 변전, 문화재 보존 등 고난도·고위험 직종은 고단가를 주도하고, 일반공사·보통인부는 비교적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6년에도 물가와 건설경기 회복을 반영해 1% 내외의 저속 상승이 유력합니다. 건설사나 발주처 입장에서는 반기별 공표치를 정확히 반영해 입찰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건설 현장 계획이나 견적 산출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함께보면 도움이 되는 자료 모음

 

일용직 4대 보험 가입기준 가입방법 신고 방법 절차 알아보기

일용직 4대 보험, 몰라서 손해 보지 마세요! 가입 기준 & 신고 방법 총정리  "일용직도 4대 보험을 들어야 하나요?" "4대 보험 가입 안 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사업주가 신고 안 해주면 어떻게

jiji3753.com

 

산재보험 신청 방법 보상금 지급 기준 절차 조건 알아보기

산재보험 신청 방법 총정리! 보상금 지급 기준 & 절차 완벽 가이드산업재해 발생! 산재보험 신청하면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산재보험 신청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산재보험은 업무 중 사고나 질

jiji3753.com

 

2025 갑근세 계산기 일용직 소득세 6.6% 실수령액 계산 환급 방법

월급에서 공제되는 갑근세(근로소득세), 얼마나 떼이고 있는지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특히 일용직 근로자의 소득세는 정규직과 다르게 하루 단위로 원천징수되므로, 세금 계산법을 정확히 이

jiji3753.com

 

 

#2025노임단가 #건설업임금 #직종별노임 #건설노무비 #노임단가예상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